OLE 파일을 언팩, 리팩 시켜줌.
[ 이전 ]
[ 최신 ]
< Compact Repacker 사용 방법 >
OLECompactRepackerRun.ba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OLE FILE" 부분을 OLE 파일의 절대 경로로 지정.
"SOURCE FOLDER PATH" 부분을 리팩 시킬 파일들의 폴더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 OLE 내부에 있는 파일과 소스 폴더 안에 있는 파일 이름이 일치해야하며
일치하지 않을시 해당 파일에 한해 리팩되지 않습니다.
참고 자료
OLE 파일 구조 : http://www.openoffice.org/sc/compdocfileformat.pdf
API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380342(v=vs.85).aspx
CS2 Loader (2) | 2014.12.16 |
---|---|
exlefor3 (0) | 2014.11.18 |
한국 EMS 다중 배송 추적/조회 (0) | 2014.08.01 |
인터넷 임시 파일 자동 다운로드 방지 프로그램 (0) | 2014.07.20 |
Applocale Autoclick Loader (4) | 2013.04.01 |
짐이 많아서 해외 배송 붙혔는데
짐이 두 상자정도 나오다보니 코드를 두번 입력해야하는 일이 발생해서 귀찮아서 만듬
(매번 검색해서 홈페이지 접속하기도 귀찮고...)
htm 파일인데 그냥 다운로드하려면 다운로드 안되는 경우를 방지해서 zip 파일로 올림.
- 사용 방법 -
1) 압축을 풉니다.
2) 메모장을 엽니다.
3) 압축을 풀고나면 EMS 파일이 있는데
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4) 대충 위 스크린샷에 빨간색 네모 안에 "코드", 식으로 추가해서 넣습니다.
여러개 있을 경우
가로로 "코드", "코드", "코드", 이런식으로도 상관없고
세로로
"코드",
"코드",
"코드",
이런식으로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5) 대충 이렇게 말이죠
(나는 가로가 좋다 하면 가로로, 세로가 좋다 하면 세로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필자는 보기엔 세로가 좋은데, 타이핑하는건 가로가 편하더군요)
추가 다 되었으면 저장하시고, 압축 푼 파일(EMS)을 실행합니다.
6 ) 대충하다보면 위와같은게 정상적이라면 뜨고 비정상이면 안뜨는 경우가 있는데
뜨면 '차단된 콘텐츠 허용' 을 클릭하시고
※ 비정상인 경우엔 자동으로 허용되어있을 수 있고, 아예 안됐을 수 있으니 지식IN에 물어보세요.
7 ) 위와 같은게 뜨면 예를 눌러주시고
조회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 ──────────────────────────────────────── +
exlefor3 (0) | 2014.11.18 |
---|---|
OleUnRePack (27) | 2014.09.12 |
인터넷 임시 파일 자동 다운로드 방지 프로그램 (0) | 2014.07.20 |
Applocale Autoclick Loader (4) | 2013.04.01 |
Fore's Secret ClipboardHooker SDK Beta 1.02v (0) | 2013.03.29 |
Renai_Revenge_InstallCrack.exe
※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세요.
그냥 씨디넣고 위 파일 실행.
기존 CD에 들어있는 인스톨러를 실행하기에 상당한 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_- ;
( 이에 대한건 본사에 따지는게 좋을 듯함. )
이 멍청한 회사가 "하드디스크에 압축을 품(파일 복사) -> 인스톨러 내에서 파일 복사 -> 설치 완료"
과정을 거치는데
하드디스크에 압축을 품( = 설치) -> 설치 완료 로 바꿔버림.
p.s > CPU 1.5ghz duel core, RAM 8GB, Windows 7 64bit 노트북에서 랙걸리면서 잘 설치함.
ALIA’s CARNIVAL! Flowering Sky User Patch (0) | 2015.07.14 |
---|---|
Chuable String Check Disabler (2) | 2014.10.11 |
アストラエアの白き永遠 FVP 패키지 인식 패치 (0) | 2014.07.27 |
魔法戦士フェアリーメイズ Patch (12) | 2011.08.08 |
妄想ぷろとこる! -姫×巫女×ロボ- Patch (8) | 2011.01.30 |
간만에 미연시 좀 할라니까 약 4년전에 만든 FVP 로더는 방식이 구형이라 제대로 안먹히고 -_- ;
( 손보고 싶은데 소스가 어디로 날라갔나 모르겠음 . . . 다시 만들긴 귀찮고 . . . )
WhiteEternityLanguageCrack.exe
초회버전(1.0Ver), 패치버전(1.1Ver) 까지 적용됩니다.
대충 설치한 곳에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패치됩니다.
문제가 있을 경우 같은 폴더에 있는 확장자 BAK 파일을 EXE 로 바꾸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Chuable String Check Disabler (2) | 2014.10.11 |
---|---|
恋愛(らぶ)リベンジ Install crack (2) | 2014.07.28 |
魔法戦士フェアリーメイズ Patch (12) | 2011.08.08 |
妄想ぷろとこる! -姫×巫女×ロボ- Patch (8) | 2011.01.30 |
One☆らばー!!~ミクちゃんの恋人~ Patch (2) | 2011.01.02 |
이 글을 읽기 전에, 어디까지나 필자가 보고 느낀 것을
그대로 적은거라 아래의 글이 틀릴 수 있습니다.
틀릴 시,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무척이나 오랜만에 Visual Studio를 켜서 컴파일러해서 컴파일하려니까
/MD 와 /MT 의 차이를 잊어버리고 말았다.
나는 이 글에 관심이 없다. 우연히 검색하다 들어왔다. 하는 분들을 위해
결론부터 말하면 " 그냥 앵간해선 /MT 으로 컴파일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
그럼, 본격적으로 글을 적어보도록 하자.
:: /MD 의 경우, Import Table 와 올리디버그 ::
[ Import Table ]
[ 올리디버그 ]
:: /MT 의 경우, Import Table 와 올리디버그 ::
[Import Table]
[올리디버그]
대충봐서 위 두개를 보고 차이를 느낀 사람은 그냥 창을 닫거나 했을 수 있을 법한데
CRT(C-RunTime) 함수가 들어가느냐, 안들어가느냐 차이이다.
/MD : 런타임 함수를 기본으로 컴파일러 함. ( 함수를 동적 라이브러리에서 불러옴. )
/MT : MS에서 제공하는 정적 라이브러리의 코드를 가져옴.
따라서, MD로 설정하는거보다 MT로 설정하는게 훨씬 용량이 크게 들어간다.
( inline 함수인가 inline 함수가 아닌가의 차이 )
그럼, 여기서 장단점을 감히 말해보도록 하자.
/MD 의 장단점
장점 : 용량이 적게 들어간다.
( 동적 라이브러리를 읽어옴으로 용량이 적게 들어간다. )
런타임 오류메시지로 /MT에 비해서 오류를 추적하기 쉽다.
단점 : 프로세스간의 호환이 뛰어나지 않다.
( 어떠한 경우에 의해 C-Runtime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 )
/MT 의 장단점
장점 : 프로세스간의 호환이 뛰어나다.
(자신이 고유 코드 영역을 가지고 있어, 충돌의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단점 : 용량이 커진다.
( 정적 라이브러리가 들어가 용량이 커지게 된다. )
위 차이 정도니까, MD 보다는 개인적으로 MT 옵션을 추천한다.
BMP 파일 구조에 대한 고찰. (0) | 2014.11.11 |
---|---|
갑작스레 떠오른 비트 구조체와 바이트 순서의 관계 (0) | 2014.10.28 |
[API]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 경로 구하기 및 폴더 생성 (0) | 2013.05.31 |
CreateDialogBoxIndirectParam, DialogBoxIndirectParam 구현. (2) | 2013.05.17 |
광고, 악성코드 썰 좀 풀어보자. (4) | 2013.05.04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